맨위로가기

조지 패짓 톰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패짓 톰슨은 영국의 물리학자로, 1892년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나 1975년 사망했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하고, 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학계에 복귀하여 애버딘 대학교와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에서 연구와 교육 활동을 했다. 1927년 금속 다결정을 이용한 전자선의 회절 및 간섭 현상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여 전자의 파동성을 입증한 공로로 1937년 클린턴 데이비슨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핵물리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1952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의 학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 대학교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 교수 - 매슈 파커
    매슈 파커는 1504년에 태어나 1575년에 사망한 잉글랜드의 종교 지도자이며, 앤 불린의 사제로서 1559년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되어 잉글리칸 교회의 발전에 기여하고 학문적 업적과 사본 수집으로 알려져 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 교수 - 리처드 헨더슨
    리처드 헨더슨은 막 단백질 구조 연구를 통해 단일 입자 전자 현미경 연구에 기여하고 GPCR 표적 약물 개발을 위한 회사를 설립했으며, MRC 분자 생물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고 201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 에든버러 대학교 - 찰스 글러버 바클라
    찰스 글러버 바클라는 X선 편광 증명과 특성 X선 발견으로 X선 분광학 발전에 기여한 영국의 물리학자로, 191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고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어 베이커리안 메달과 휴즈 메달을 받았다.
  • 에든버러 대학교 -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은 영국의 물리학자로서 전리층 연구를 통해 194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이오노스피어의 존재와 구조를 밝혀내고 레이더 개발에 기여했다.
  •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 압두스 살람
    압두스 살람은 약전자기 상호작용 이론 통합에 기여하여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파키스탄의 이론물리학자로서, 파키스탄 과학 발전과 국제 이론물리센터 설립을 주도하며 개발도상국의 과학기술 발전에 헌신하였으나, 종교적 차별로 인해 조국을 떠나게 되었다.
  •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 마이클 제임스 더프
    마이클 제임스 더프는 퀸메리 칼리지와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에서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지낸 영국의 이론물리학자로, 기본 입자, 양자 중력, 초끈 이론, M-이론 등 통일 이론 연구에 기여하며 왕립 학회 및 미국 물리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조지 패짓 톰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조지 패짓 톰슨
1937년의 톰슨
이름조지 패짓 톰슨
원어 이름George Paget Thomson
출생과 사망
출생1892년 5월 3일, 영국, 케임브리지
사망1975년 9월 10일 (향년 83세), 영국, 케임브리지
학문 분야
분야물리학
모교트리니티 칼리지
지도 교수조지프 존 톰슨
알려진 업적전자 회절
경력
직장애버딘 대학교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수상
수상 내역하워드 N. 포츠 메달 (1932년)
노벨 물리학상 (1937년)
휴즈 메달 (1939년)
로열 메달 (1949년)
패러데이 메달 (1960년)
개인 정보
배우자캐슬린 뷰캐넌 스미스
자녀아들 2명, 딸 2명

2. 생애

조지 패짓 톰슨은 1892년 5월 3일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났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수학을 전공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학업이 중단되었다. 이후 애버딘 대학에서 연구했고, 1930년부터 1952년까지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물리학 교수를 지냈다. 1952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 학장이 되었고, 1975년 9월 10일에 사망했다.

그의 아버지 조지프 존 톰슨1906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이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조지 패짓 톰슨은 1892년 5월 3일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노벨상 수상자인 조지프 존 톰슨이고, 어머니는 조지 에드워드 패짓의 딸인 로즈 엘리자베스 패짓이다. 톰슨은 케임브리지 퍼스 스쿨을 졸업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수학물리학을 전공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학업을 중단하고 퀸스 로열 웨스트 서리 연대에 임관하여 프랑스에서 복무했다. 1915년 영국 왕립 비행대로 전속되어 패언버러의 왕립 항공 연구소 등에서 항공역학 연구를 수행했다. 1920년 대위로 제대했다.

2. 2. 학문 및 연구 경력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톰슨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특별연구원이 되었고, 이후 애버딘 대학교로 옮겨 연구를 이어갔다.[3] 1927년, 톰슨은 금속 다결정을 이용한 전자선의 회절 및 간섭 현상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여 전자의 파동성을 입증했다. 그는 알루미늄, 금, 백금과 같이 결정 구조가 알려진 얇은 금속 필름(두께 30nm)을 통해 전자를 산란시켜 관찰된 회절 패턴의 크기를 측정했다. 각 경우에 그가 관찰한 회절은 루이 드 브로이의 파동 이론에 의해 예측된 값의 5% 이내였다. 이 발견은 1920년대 루이 드 브로이가 처음 제시한 파동-입자 이중성 원리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를 제공했으며, 이는 종종 물질파 또는 드 브로이 가설로 불린다.[3] 이 공로로 톰슨은 1937년 노벨 물리학상을 클린턴 데이비슨과 공동 수상했다.[3]

1929년부터 1930년까지 톰슨은 뉴욕 주 이타카에 있는 코넬 대학교의 비상주 강사였다.[1] 1930년, 그는 휴 롱본 콜렌더의 뒤를 이어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물리학 교수가 되었다. 1930년대 후반부터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에는 핵물리학, 특히 군사적 응용 분야를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특히 그는 원자 폭탄이 실현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린 1940–1941년의 중요한 모드 위원회의 의장이었다. 전쟁 이후에는 핵 에너지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지만, 항공역학과 사회에서 과학의 가치에 대한 저술 활동도 했다.

1952년, 톰슨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의 학장이 되었다. 1964년, 칼리지는 대학의 렉햄프턴 캠퍼스에 있는 현대 건축물인 조지 톰슨 빌딩으로 그의 재임을 기렸다.

3. 연구 업적

루이 드 브로이물질파 이론을 받아들여 1927년 금속 다결정을 이용한 전자선의 회절 및 간섭 현상을 보여 전자의 파동성을 증명했다. 이 업적으로 클린턴 데이비슨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아버지 윌리엄 톰슨은 전자를 기본 입자로 보았지만, 아들 톰슨은 전자가 파동성을 가짐을 증명했다.

3. 1. 전자의 파동성 증명

1927년, 톰슨은 얇은 금속 필름(알루미늄, 금, 백금 등)을 통과하는 전자회절 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실험적으로 관찰했다.[3] 이는 루이 드 브로이가 제안한 물질파 이론, 즉 전자가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가진다는 드 브로이 가설을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증거였다. 톰슨은 알루미늄, 금, 백금과 같이 결정 구조가 알려진 얇은 금속 필름(두께 3μm)을 통해 전자를 산란시켜 관찰된 회절 패턴의 크기를 측정했고, 각 경우에 그의 관찰된 회절은 드 브로이의 파동 이론에 의해 예측된 값의 5% 이내였다.[3] 이 업적으로 톰슨은 1937년 클린턴 데이비슨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3] 아버지 윌리엄(1904년 노벨상 수상)은 전자를 기본 입자로 보았지만, 아들 톰슨은 전자가 회절될 수 있으며, 마치 물질파처럼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3]

4. 수상 및 서훈


  • 1926년 하워드 N. 포츠 메달
  • 1937년 노벨 물리학상 (클린턴 데이비슨과 공동 수상)[4]
  • 1939년 휴즈 메달
  • 1943년 기사 서훈[4]
  • 1948년 베이커리안 메달
  • 1949년 로열 메달
  • 1960년 패러데이 메달

5. 개인사

1924년, 톰슨은 애버딘 대학교 총장이었던 조지 아담 스미스 경의 딸인 캐슬린 뷰캐넌 스미스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다. 캐슬린은 1941년에 사망했다.

캐슬린 애덤 스미스 패짓 톰슨


톰슨은 1975년 9월 10일, 케임브리지에서 83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케임브리지 남쪽에 위치한 그랜체스터 교구 교회 묘지에 아내와 함께 안장되었다.

아들 존 톰슨 경(1927–2018)은 인도 주재 고등 판무관(1977–82)과 유엔 주재 상임 대표(1982–87)를 역임한 고위 외교관이었다. 손자 아담 톰슨 경(1955년 출생) 또한 파키스탄 주재 고등 판무관(2010–2013)과 NATO 주재 상임 대표(2014–2016)를 역임한 고위 외교관이었다. 딸 릴리안 클레어 톰슨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제학자이자 등반가인 요하네스 드 빌리어스 그래프와 결혼했다.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George Paget Thomson http://nobelprize.or[...] the Nobel Foundation 2007-09-12
[2] 백과사전 Thomson, Sir George Paget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07-09-12
[3] 학술지 Diffraction of Cathode Rays by a Thin Film
[4] 학술지 Meeting: British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60-10-14
[5] ODNB Thomson, Sir George Paget
[6] 학술지 Johannes de Villiers Graaf https://www.res.org.[...] 201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